마이스페이스가 지난 12년간 이용자가 올린 곡을 모두 잃어버렸다

마이스페이스가 지난 12년간 이용자가 올린 곡을 모두 잃어버렸다

마이스페이스가 지난 12년간 이용자가 올린 곡을 모두 잃어버렸다

한국에선 이용자가 거의 없어 관심이 덜한 SNS가 있다. 마이 스페이스다. 한때 페이스북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잘못된 정책으로 망해(...)버린 사이트였다. 다만 창작자들, 특히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이 자신을 홍보하는 방향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틈새 시장 특화 SNS 였다고 해야 하나. 그나마 그것도 유튜브를 더 널리 쓰게 되면서 묻힌 듯 하지만.

아무튼, 이 사이트가 서버를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에서, 지난 12 년간 이용자가 올린 5000 만 곡 이상(추정)의 음악 데이터를 모두 잃어버렸다고 밝혔다. 해당 이용자는 약 1400 여 만명에 달한다. 해당 기간은 2003년(마이스페이스 창립)부터 2015년까지다. 한창 잘 나가던 시간에 올린 음원들이 전부 사라졌다. 게다가 1년 전에 발생한 일을, 이제야 밝혔다.

... 이해할 수 없지만, 백업조차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이 얼마나 불안정한 저장 공간인지를 잊지 않기 위해, 기록해 둔다. 웹 상에 올린 자료 중에 정말 안전한 자료가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수많은 보안 장치도 작은 헛점으로 뚫릴 수 있다. '노-하우'에서 '노-웨어'로 지식을 기억하는 방법이 바뀌었다는 주장이 21세기 초반에 있었지만, 그런 주장도 그 후 일어난 수많은 데이터 손상 사고, 또는 서비스 중지와 함께 기각됐다.

디지털 정보는 생각 이상으로 취약하다. 인터넷은 아카이브가 될 수 있지만 또 아카이브가 될 수 없다. 끝없이 돌보지 않으면 손상되거나 쓸모없이 되는, 화초 같은 존재다. 디지털 세상에서 꽤 오래 살아온 우리는, 안다.

어제는 구글 플러스에 올린 데이터를 내려 받았다. 사실 예전에도 그랬지만, 내가 올린 자료조차 내가 돌아보지 않는다. 소중하다 생각해서 백업 받아놓고 몇 년 간 한번도 들여다보지 않은 적도 많다. 이번에 다운 받은 자료도, 아마 거의 돌아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 정보는 그냥 강물이다. 시간처럼, 정말 흘러간다. 옛 정보는 새 정보에 묻혀 돌아보지 않게 된다.

어쩌면 마이 스페이스가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날린 일도, 그래서 아무 일도 아닐 지도 모르겠다. 어차피 올린 이도 잊었을 테니까. 모든 콘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즐기게 될 세상에서, 보관과 백업이란 행동을 아예 잊어버리게 될 지도. '타임라인(Time Line)'이라, 지금 생각하면, 참 잘 지은 이름이었네.

About Author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