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인터넷만 조금 돌아다녀도, 청와대나 국회의원 홈페이지에만 가도 이런 일은 부지기수다. 다들 "왜 내 말은 안들어주냐"고, "제발 내 말 좀 들어달라고" 하소연을 한다. 그들이 들어달라는 말은 대부분 "억울함"이다. 억울함은 사전적으로는 말하자면 "애매한 일을 당하여 분하고 답답"한 기분이지만, 실제로는 "세상이 말하는 정의나 규칙에 어긋난 일을 내가 당해, 한이 맺혔"다는 말이다. 거칠게 말하자면, 나쁜 놈은 저 놈인데 내가 나쁜 짓을 한 것처럼 됐다거나, 나는 진실을 말하고 있는데 거짓말로 매도 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2. 이런 "억울함의 호소" 뒤에는 갈등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화가 존재한다. 상대방과 생긴 문제에서 갈등이 해소되지 않으니, 나보다 더 강한 사람에게 "억울함을 호소"해서 "대신 해결해 주기"를 부탁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억울함은 대부분 다른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하고, "한 사람만의 억울함"으로 치부되기 일쑤다. 영화 속의 송강호가 아무리 "내 딸이 살아있다"라고 호소해도, 다른 이들은 "자식 잃은 아빠가 미"쳐서 하는 소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세상이다. 우리는 타인의 괴로움에 공감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또는 지난 몇십년동안 그렇지 못하도록 길들여져 왔다.
권력의 폭력이란 것은 그래서 무섭다. 아직까지 이 땅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독재정권에서 성장한 귄위주의 문화이고, 군사문화다. 군사문화에선 "상대방"이 없다. 나보다 계급이 높거나 낮은 사람만 있을 뿐이다. 그들은 간단한 정보라고 해도 공개하지도, 공유하지도 않는다. 무엇을 하라고 명령할 줄은 알아도 그것을 "왜 해야 하는지" 이야기 해주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애시당초 상대는 이야기의 대상이 아니다.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고, 까라면 까야할 통제의 대상일뿐. 아니면 내가 알아서 기어야할 윗사람이거나.
3. 상대방을 설득시키거나 토론하는 방법을 많은 이들은 모른다. 한국타이어에서 영문도 모른채 노동자들이 줄줄이 죽어나가도, 회사는 끝까지 회사랑 관련 없다고 부인만 했다. 멀쩡한 군대 헬기가 추락해도 수사관들은 "이런 이런 내용을 조사중이고, 이런 문제가 있어서 이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이해해달라"라고 말할 줄 모른다. 그저 “정확한 이유는 앞으로 조사를 해봐야 말해줄 수 있다”는 말로 일관할 뿐이다.
...사실 이런 사례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 많다. 이런 권위주의 문화는 (누군가의 말처럼) 수많은,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낳는다. 이야기 한 번만 더 들어줬어도, 조금만 더 관심을 가졌어도 큰 사고 없이 해결됐을 문제들이, 결국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뒤에야 수습을 하겠다고 부산을 떤다. ... 하지만 떠난 것은, 죽은 사람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뭐, 사고가 나도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보다야 나을 수도 있겠지만.
4. 개인의 이익을 위해 억울함을 호소하는 사람도 분명 있다. 말 그대로, 돈 한 푼 더 뜯어내기 위해서 억울하다고 하소연하는 사람이 훨씬 더 많을 것이다. 심지어는 억울함을 빙자해 사기를 치는 사람들도 나는 꽤 많이 봤다. 하지만 그런 이유로 억울함을 방치하기에는, 우리 모두가 잃어버릴 것들이 앞으로 너무나 많다. 지금은 그나마 많이 나아졌지만, 50년전만 해도 맘에 안든다는 이유로, 사상이 다르다는 이유로, 말을 안듣는다는 이유로 때려죽인 사람이 수만명이 넘었다.
다시 뒤로 돌아갈 수는 없다. 민주주의는 시스템만의 문제가 아니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완성되도, 스스로 한국 사회를 관리한다고 믿는 삼성 같은 기업은 그대로 남아있었다. 우리 마음이 살아가는 땅덩어리를, 우리가 생각하는 마음의 기준을 갈아엎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다. 이야기를 들어준다는 것은, 결국 누구라도 사람대접을 해준다는 말이다. 노숙자라도, 외국인 노동자라도, 빈민이라도, 어린이라도, 장애인이라도 ... 그렇지 않다면, 결국 언젠가는, 우리가 이렇게 얘기해야할 때가 올 것이다.
"왜 내 말은 안들어주냐"고.
* ...군용 헬기 추락 사건, 한국 타이어 현장 조사 발표를 함께 보다가 떠오른 생각. 군인 유족들의 “대한민국이 이럴 줄 알았다”라는 말을 읽으며 가슴이 조금, 쓰리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