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마오이즘과 재런 러니어

그저께 100분 토론을 통해 묘한 스타(?)가 되었던 주성영 의원이, 어제(금) 뷰스앤뷰스와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 기사를 읽는데 뭔가 묘하게 이상하다. 특히 ‘디지털 마오이즘’을 들먹이며 설명하는 말이 많이 걸렸다. 아니나 다를까, 찾아보니 주성영 의원은 2008년 5월 6일자 동아일보 기사를 참고해서 말한 모양이다.

▲ 디지털 마오이즘이란 에세이를 쓴, Jaron Lanier

당시 동아일보 기사는 ‘중국의 인육사냥’을 소개하는 기사에서, 재론 러니어가 이야기한 ‘디지털 마오이즘’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해 놨다.

미국의 저명 미래학자 겸 비디오 예술가인 재런 러니어(사진) 씨는 2006년 5월 인터넷 학술 사이트 ‘에지(Edge)’에 인터넷 집단주의의 위험을 경고하는 장문의 글을 기고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는 “우리는 ‘디지털 마오이즘(Digital Maoism)’ 시대에 살고 있다”면서 “중국 문화혁명처럼 집단주의가 극좌, 극우 운동과 결합됐을 때 무서운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1989년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라는 단어를 창안하며 인터넷의 민주적 가능성을 강조했던 러니어 씨가 인터넷이 집단주의로 흐를 때 생기는 위험성에 대해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그는 “인터넷에서 다수를 형성하는 권력은 ‘우리는 결코 틀릴 수 없다’는 ‘절대 진실의 오류’에 빠져 있다”고 강조했다. 러니어 씨는 “인터넷에서 다수를 형성하는 주장의 질을 검증하고, 소수의 의견도 전체 의사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마련돼야 집단주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 가디언 등 주요 외국 언론과 학자들은 “러니어 씨의 주장이 인터넷 집단주의의 문제점을 과대평가한 측면은 있지만 인터넷의 익명성이 오히려 토론과 자유로운 의견 교환을 막을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정확하게 지적했다”고 평했다.

– 동아일보, 2008년 5월 6일, 중 2억 네티즌 사이버 인육사냥 성행


이 기사를 바탕으로 주성영 의원은 아래와 같이 주장한다.

주성영 : 그 부분은 내가 먼저 쓴 게 아니고, ‘재런 러니어’라는 미래학자가 쓴 말이다. 러니어가 1989년에 가상세계, 가상현실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만든 사람인데, 디지털 공간의 민주적 가능성을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한 미국의 저명한 미래학자다.

그런데 이 사람이 2006년에 인터넷 학술사이트인 <에지(edge)>에 인터넷 집단주의의 위험을 경고하는 글을 기고했는데 그 제목이 바로 ‘우리가 지금 디지털 마오이즘 시대에 살고있다’는 것이다. 디지털 마오이즘이라는 것은 집단주의가 이념과 결부됐을 때 나타내는 불안행위와 책란, 선동행위 그런 것이 디지털 시대에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거기에 대해 <뉴욕타임즈>가 이 글을 “인터넷 공간에서 익명성 뒤에 숨어서 하는 네티즌들의 행태가 적절하지 못하고 정상적인 토론과 대화를 해치는 것”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 뷰스앤뷰스, 2008년 6월 20일, 주성영 의원 전화인터뷰

재론 러니어는 미래학자가 아니다.

먼저 사실 관계를 바로 잡아보자. 재론 래니어는 미래학자가 아니다. -_-;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컴퓨터 과학자, 작곡가, 비디오 아티스트, 작가-라고 나온다. 실제로 그는 기술 인문학자에 가까운 사람이다. 거기에 더해 ‘가상 현실’이란 단어를 만들었지만, 가상 현실에 대한 개념은 이미 이전에도 존재했었다. 디지털 공간의 민주적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그의 글도 본 적 없다(이건 주성영 의원의 창작이다.). 

디지털 마오이즘에 대한 재론 마이어의 글은 다음의 링크에서 읽어볼수 있다. (디지털 마오이즘 – 새로운 온라인 집단주의의 함정(영문)) 이 글의 주장은 ‘집단주의의 이념에 결부되었을 때 어쩌구 저쩌구..’가 아니다. 위키피디아 같은 온라인 집단 지성에도 함정이 있을 수 있으며, 그것을 주의해야 한다-가 결론이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의 내용이다.

  • 위키피디아 같은 온라인 집단 지성에 대한 지지가 힘을 얻어가고 있다.
  • 설사 위키피디아에 어떤 오류가 있어도, 결국 나중엔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통해 고쳐질 것이라고 믿는다.
  • 하지만 이것은 극단적 자유주의자들(시장방임주의자)의 주장과 비슷하다. 극단적 자유주의자들은 모든 것을 시장에게 맡기면 저절로 해결될거라고 믿는다.
  • 이런 것(극단적 방임)은 민주주의 시스템과는 다르다. 역사를 살펴봤을때, 이런 집단주의적 흐름은 극좌나 극우로 빠진 경우가 많았다.
  • 따라서 이런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에 대한 뉴욕타임즈의 소개글은 다음의 링크에서 읽어볼 수 있다. (뉴욕타임즈_디지털 마오이즘) 뉴욕타임즈가 재론 마이어의 주장을 소개하면서 내린 결론은 아래와 같다.

  • 위키피디아는 마오이즘의 역사적 진실과 거리가 멀다. 마오이즘은 소수 엘리트의 선동에 의해 시작되었다.
  • 그렇지만 래니어의 주장은 우리가 집단지성에 대해 성찰하는데 도움을 준다.
  • 집단지성은 오류를 수정하거나 웹에서 알려지지 않은 보석을 발견하는 데는 분명히 도움을 준다. 하지만 뛰어난 아이디어나 창조적 작업을 하고 싶다면, 그건 결국 혼자 수행해야 할 것이다.

…도대체 재론 래니어의 주장 + 뉴욕 타임즈의 논평과, 주성영 의원의 주장에서 일치하는 점이 뭐가 있을까?

매스미디어는 진실을 말할 거라는 헛된 믿음

결국 주성영 의원은 동아일보에 보도된 기사를 진실이라고 믿고, 자신의 신념에 맞게 재편집하다가 완전히 거짓말을 한 셈이다. 뻥이 뻥을 낳고 다시 뻥을 낳았다. 입으로 타고 전해진 말은 완전히 다른 말로 둔갑되어 서로에게 다가온다. … 다시말해 주성영 의원은 천민이라 불리는 우리들도, 이제 믿지 않고 항상 의심해보는 언론의 덫에 스스로 걸려들었다.

재밌는 것은, 동아일보라는 언론이 이 거짓말 놀음의 처음을 장식하고 있는 모습이다. 나 같은 인간도 해석하는, 그다지 어렵지 않은 문장을 두고 동아일보 기사가 곡해를 하고, 그 곡해를 받아들인 멍청한 의원이 완전히 다른 말로 만들어 버렸다. 이건 기존에 언론이 독자들에게 기사를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다. 말이 입과 입을 타고 전해지면서 와전되는 현상은, 그들이 그토록 증오하는 ‘괴담’이 퍼지는 방식이다.

뉴욕타임즈의 지적대로 집단지성은 오류를 걸러내는 재주가 있다. 언론이 보여주지 않는 것을 보고, 잘못된 것을 잡아내는데 장점을 보인다. 이런 시스템은 선동에 의해 그리 쉽게 흔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선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은, 인터넷이 아닌 기존 매스미디어다. 그들은 자신이 보고 싶은데로 세상을 본다. 멀쩡히 인터넷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사조차 왜곡하려고 든다. 하지만 세상이 이미 어떤 세상인가. 

…그러니까, 주성영 의원, 형편 없는 것은 네티즌이 아니라 당신이다.

바보가 되지 않으려면 조중동을 믿지 말라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블로거들의 글이 올라올때는 그 ‘팩트’를 확인하려고 애쓰면서도, 언론이 보도할때는 그것을 무작정 믿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 사실, 우리는 언론의 기사를 ‘팩트’로 여기고 글을 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건 분명히 우리 스스로가 반성해야할 지점이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들의 링크에 의해 스스로를 수정해 간다. 댓글과 트랙백을 통해 토론하면서, 다른 사실도 있음을 알아간다.

…그런데 조중동, 니넨 뭐냐? -_-;;;

결국 동아일보를 믿었던 한 바보 의원은, 자신이 얼마나 바보인지를 만천하에 드러냈다. 이른바 ‘고대녀’의 신상정보 폭로를 비롯, 그가 100분 토론에서 ‘진실이라 믿으며 말했던 것’ 가운데 진짜는 거의 없었던 셈이다. 거참, 자신이 믿고 있는 언론에 의해 스스로 발등을 찍혔으니, 이걸 쌤쌤이라고 해야하나, 불쌍하다고 여겨야 하나.

하지만 덕분에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던 이야기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언론을, 그것도 편파적인 언론을 절대로 그대로 믿으면 안된다는 것. 이들이 어떤 프레임을 가지고 이런 기사를 썼는 지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는 것. .. 그러니까, 바보가 되지 않으려면 조중동을 믿어선 안된다는 것.

그리고 조중동도 제발 깨달았기를 빈다. 팩트를 왜곡하는 기사 따위는 기사도 아니지만, 그에 덧붙여, 자신과 같은 편까지도 바보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말이다. … 물론 깨달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에 한 표-_-를 던지지만.

* 윗 글과는 별개로, 디지털 마오이즘의 마지막 문단을 옮겨놓는다. 촛불집회를 계기로 갑작스럽게 집단지성에 대한 학자들의 찬사가 터지는 세상에서, 재론 마이어의 비판은 분명 신중하게 고려해야할 지점이다. 관심 있는 사람은 위에 링크된 글을 주의깊게 읽어봐 주길 바란다.

These are just a few ideas about how to train a potentially dangerous collective and not let it get out of the yard. When there’s a problem, you want it to bark but not bite you.

The illusion that what we already have is close to good enough, or that it is alive and will fix itself, is the most dangerous illusion of all. By avoiding that nonsense, it ought to be possible to find a humanistic and practical way to maximize value of the collective on the Web without turning ourselves into idiots. The best guiding principle is to always cherish individuals first.

* 트랙백 달아주신 한 분의 의견에 대해, 댓글을 달았더니 승인후 공개라 제 블로그에 내용 더 붙여서 코멘트 합니다.

참, 뭐라고 답을 해야할지 조금 난감하네요. 🙂

1. 재론 래니어가 ‘미래학자’가 아니라고 했지 ‘학자’가 아니라고 한 적 없습니다. 위키피디아에 링크를 걸긴 했지만, 래니어의 공식 웹사이트 프로필에서 확인해둔 내용입니다. 그는 컴퓨터 공학자이며 동시에 예술가이지만, 실제론 가상현실 아티스트로 더 유명해진 사람입니다.

2. 래니어가 ‘미래학’을 다루는 엣지라는 잡지에, 학자로서 참여해 글을 썼기 때문에, 그 자신이 미래학자라고 말한 적은 없어도 미래학자라고 부를 수 있다-라는 논지로 말하시는데,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엣지가 미래학의 최신 트렌드를 논하는 곳이라면… 근거를 들어주셨으면 좋겠네요. 아니, 그것보다, ‘미래학’이라는 학문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내리고 계신지 먼저 설명해 주셔야 할 듯 합니다. 일반적인 정의와는 다르게 정의하시는 듯. 보통 사람들이 앨빈 토플러를 ‘미래학자’라고 부를때 그 미래학은 미래의 가능성과 다가올 변화에 대한 예측을 전문으로 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3. 엣지는 그 스스로 밝히고 있듯 인문적 지성과 과학의 소통을 추구하는, (자신들 말로는) 제3의 문화를 추구하는 잡지입니다. 과학 + 인문학 = 미래학, 이라는 공식이 아니라면, 엣지가 어째서 미래학 잡지인지? 게다가 래니어가 엣지에 글 쓴 것은 2006년에 2번인가 밖엔 없었습니다. 그 글 가운데 미래학자적인 논지의 글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논했던 글이 있다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4. 님이 트랙백 해주신 글로는 제가 어떤 바보짓을 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 알려주시면 당연히 수정합니다. 개인적으론, 좀 성의 있는 글인가 했더니 -_- 영 아니어서 굉장히 아쉽습니다.

About Author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