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을 사치재라 말하는 시대에서 사는 법
1. 몇 달 전 보았던 김인규 교수의 글 「청춘이여, 인문학 힐링 전도사에게 속지마라」라는 글이 아직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돌아다니기에, 짧게 적어봅니다. 저 글에 담긴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다면 이렇게 되겠죠. "인문학은 당장 써먹을 곳이 없는 학문이니, 취직에
Continue readingAll about Digital Lifestyle
1. 몇 달 전 보았던 김인규 교수의 글 「청춘이여, 인문학 힐링 전도사에게 속지마라」라는 글이 아직 페이스북 타임라인에 돌아다니기에, 짧게 적어봅니다. 저 글에 담긴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다면 이렇게 되겠죠. "인문학은 당장 써먹을 곳이 없는 학문이니, 취직에
Continue reading... 저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건 본사와 공장에서 높은 품질의 카메라와 렌즈를 개발하는 데 협력하는 직원들의 고용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구식이라 불리기도 하지만 지역 밀착형 사회를 통해 공급망을 만들고 있습니다. 물론 제조 단가에선 불리하지요. 하지만 현지에
Continue reading개인적으로 한 기업을 불매하는 계기가 됐던 삼성 중공업의 태안 기름 유출사고(007년 12월7일 삼성중공업의 예인선이 끌고 가던 대형 크레인이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와 충돌해 원유 1만2547㎘가 유출됐던 사고)- 이후 경과에 대한 아주
Continue reading드라마 닥터 프로스트를 통해 그 존재를 알게됐던,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교수의 지난 2013년 영상입니다. 이 영상에서 묻는 질문은 단순합니다. ...당신의 기억은 정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대답은 짐작하셨듯이, 기억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은 암시에도 쉽게 바뀌기도
Continue reading작년부터 고민하고 있던 주제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균형잡기. 아날로그와 디지털, 일과 휴식, 노동과 작업, 좋아하는 것과 해야만 하는 것 사이의 균형. 작년말 몸이 망가졌는지 한참 고생을 좀 했더니, 이런 '균형잡기'에 대해 더더욱 마음이 쓰이더라구요. 좋아하는
Continue reading이 세상을 위해 뭔가 가치 있는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언제나 그렇게 할 수 있고, 그것이 가능한 장소를 찾아내는 법이지. 그걸 찾아내지 못하는 사람은 게으름뱅이나 겁쟁이가 아니면, 인생의 의미를 알지 못하는 인간이야. 삶의 의미를 아는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