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가 광우병 촛불 집회 논란을 봤다면-
▲ 사진출처_오마이뉴스 문득 전에 적어 놓은 촘스키에 대한 글 「중요한 것은, 당신이 말하는 것이 옳으냐? 이다. - 노암 촘스키」을 다시 읽다가, 최근 학생들의 광우병 관련 촛불 집회 참석에 대한 논란이 생각났다. 만약 그 논란에 대해
Continue readingAll about Digital Lifestyle
▲ 사진출처_오마이뉴스 문득 전에 적어 놓은 촘스키에 대한 글 「중요한 것은, 당신이 말하는 것이 옳으냐? 이다. - 노암 촘스키」을 다시 읽다가, 최근 학생들의 광우병 관련 촛불 집회 참석에 대한 논란이 생각났다. 만약 그 논란에 대해
Continue reading예전에 마르크스가 공산당 선언에서 그랬던가,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라고. 이때까지만 해도 사회주의자들은, 만국의 노동자들이 자본가들에 맞서,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맞게 단결할 수 있을줄 알았다. ... 물론 이후 벌어진 일들은 그러지 못했지만. 만국의 노동자들은 가끔-씩만 단결했을 뿐이다.
Continue reading정보라는 것은 사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위험에 처했을 때 리스크 관리 팀을 만들어 대응하는 것보다 사전에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다. - 마이클 캐펠라스(Capellas) 퍼스트데이터(신용카드 결제회사) 회장 20여년전에도 한국에선 소고기 파동이 있었다.
Continue reading이 쑈는 뭐야? 대체 뭐하는 이야기야? 같이 갔던 친구가 묻는다. 대답하려다말고, 친구의 얼굴을 한번 보곤, 싱긋-웃어준다. 그러니까... 5년전 처음 이 쑈를 보았을 때, 내가 했던 질문도 그것이었기 때문이다. 글쎄, 뭘까- 하고 대답한다. 그냥, 보면 돼-
Continue reading2008년 5월 6일, 정부는 쇠고기 수입 재개 협상이 '위생조건'을 따지는 협상이었지 '이득'을 따지는 협상은 아니라고 밝혔다. 어이가 없는 것이, 그렇다면 대체 미국 쇠고기는 왜 수입하는가? 라는 것. 뭔가를 수입하려면 우리에게 이득이 있거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Continue reading1992년 10월 19일, 학생, 전문직업인, 종업원, 오토바이 배달부, 그리고 의회스태프들까지 포함된 수 백 명의 미국 청년들이 워싱턴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들었다. 국가지도자들에게 더 이상 우리 경제의 미래를 파괴하지 말 것을 요구하기 위해서였다. 그중 열댓 명이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