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버스, 기차, 극장과 길에서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을 찾아내십시오. 보통 사람들을 따라가십시오. 동시에 최신의 발견, 발명들을 따라 잡으십시오. 방심할 수 없이 중요한 것에 숨어 있는 모든 지식을 출판하십시오. 여러분들의 직업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고 말하는 모든 것을 마치 여러분이 누구보다 가장 잘 아는 것처럼 보도하는 것입니다.
- 무아즈 폴리도르 미요, 19세기 프랑스의 첫번째 대중 신문 「르 프티 주르날」의 창립자.
1. 많은 사람들은 좋은 정보가 사람들을 끌어모은다고 생각한다. 특히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더욱 그렇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과연 좋은 정보만 있으면 사람들이 모여들까? 아니다. '사람들의 관심을 받아야' 좋은 정보가 된다. 구석진 골방에서 갇혀 천상의 예술을 창조해내는 예술가가 어디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는 그를 모른다. 그렇다면 그도, 그의 작품도, 우리에겐 결국 '없는 작품'이다.
결국 정보는 누군가에게 보여지기 위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보게 만들려고 정보도 정리하고, 제목도 그럴싸하게 뽑고, 보는 사람들이 원할 것 같은 주제를 잡는다. 하지만 정보와 정보 소비자가 그냥 만나지는 못한다. 반드시 그 둘을 중간에서 매개해주는 누군가, 또는 어떤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 결국 좋은 정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의 성격이 정보의 성격마저 규정한다. 맥루한의 말마따마 '미디어는 메시지'다.
2. 19세기 대중신문이 처음 등장했을때 나타났던 현상을, 우리는 블로고스피어에서 다시 목격하고 있다. 대중신문이 처음 나타났을 때의 특징이라면 '싼 가격', '사건의 신속한 보도', '연재소설, 잡보기사등 읽을거리의 제공' 세 가지로 요약된다. 대중신문은 이를 통해 "선정적인 현실을 제공하고, 새로움울 강조하고, 일상의 틀을 재현하고 짜맞"춤으로써 대중문화를 특징짓기 시작했다(1).
21세기 대중신문은 블로고스피어다. 다음 블로거 뉴스나 올블로그에 모인 블로거들의 글은, 그 글의 양이나 질이 대중신문을 대체하기에 손색이 없다. 그들은 일상에서 소재를 퍼올리고,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깊게 파고 들어가며, 정보를 모아 재편집한다. 기존 언론에선 다루지 않을 것들도 화제가 되고, 보여주지 않았던 것들도 보여준다.
3. 블로고스피어는 매스미디어의 글보다 더 많은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 글의 내용은 다시 서로에게 화제가 되어, 새로운 정보를 낳는다. 정보를 정리하고 편집하는, 망적 대화의 특징이다. 이런 시스템은 이제 기존 언론을 능가하기 시작했다. 한국언론재단이 최근 실시한 조사 결과를 보면, 언론 사용자들은 방송국 다음으로 포털 사이트가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하고, 인터넷을 신문보다도 더 신뢰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보수 언론이 포털 사이트를 언론으로 지정해서 통제해야 한다고 끊임없이 나서는 것도 이런 이유다. 이들은 신뢰도와 경제적 이익을 인터넷에 뺏기고 있다. 지금은 오프라인에서 신문을 많이 보는 40대 이상이 건재하니 버티고 있지만, 현재의 30대 이하가 점점 성장하면서 이들의 시장이 얼마나 잠식될지는, 조금만 머리 굴려봐도 금방 알 수 있는 일이다.
4. 그런 의미에서, 조중동의 다음에 대한 기사공급 중단은 별로 아쉬울 것이 없다. 사실 이들의 기사는 인터넷에서 그리 인기있는 기사도 아니었다. 제목만 야하게 뽑았지 속 내용은 텅 비어 있는 경우가 많았던 탓이다. 그리고 다른 매체와 중복되는 기사도 많았다. 그렇다면 동일 정보를 줄인다는 차원에서도, 이들의 기사를 싣지 않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아마, 다음의 뉴스 이용률도 그리 줄어들진 않을테다.
처음에는 몇몇 정보가 부족해서 아쉽다는 소리가 나올지도 모른다. 우리는 그들이 우리보다 '정보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기에 더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환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블로거들과 다른 언론매체가 직접 나선다면, 그들이 이 기회를 잘 활용한다면 그 부족함은 곧 사라질 것이다. 조중동이 빠짐으로서 생기는 공백을 메꿀 누군가가 나타난다면, 그는 곧 시스템의 중요한 정보제공자로, 중심점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5. 어차피 네트워크상의 정보 소비는 '강한 정보' 몇가지가 아니라, '부드러운 정보'의 롱테일에서 일어난다. 콘텐츠 제공자보다 시스템 제공자의 힘이 훨씬 더 강하다. 다만 그들이 앞으로도 포털에 대해 악의적으로 기사를 쓰진 않을까-하는 걱정이 있을텐데, 이제까지는 뭐 그러지 않았던가. -_-;;
기성 언론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한, 인터넷의 망적 시스템이 점점 언론매체의 시장을 잠식해 들어가는 한, 그리고 기성 언론이 그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한... 갈등은 어쩔수 없이 계속될 것이다. 하지만 걱정말자. 솔직히 말해, 무가지 메트로나 씨티-가, 조중동보다 더 많이 읽히는 시대가 아니던가.
6. 다음은 조중동 및 그 계열 신문의 기사 공급 중단에 그리 당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들이 없으면, 대신 다른 좋은 기사들을 밀어주면 된다. 세상에 주목 받고 싶어하는, 어떻게든 다음 1면에 나오려고 고민하는 정보들은 널리고 널렸다. ... 그래서 포털들이 좀 권력화 되는 경향도 있긴 하지만.
어차피 다음이 기댈 곳은 인터넷을 더 신뢰하는 세대지, 오프라인 신문을 꼬박꼬박 구독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그렇다면 더 당당하게 나가도 된다. 조중동 다시 끌어오기 위해 힘과 노력을 낭비할 바엔, 좋은 글을 쓰는 블로거들을 차라리 지원해주기 바란다(응?). 지금 다음에게 중요한 것은, 블로거들과 함께할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이지, 조중동이 아니다.
(1) 바네사 R 슈와르츠, 『구경꾼의 탄생』, 마티, p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