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거의 카메라가 있어야 할 곳은 어디인가

위 동영상은 지난 7월 5일, 시청 앞 광장 근처에서 찍은 것이다. 이때 안에서는 몇몇 사람들이 시국 기도회를 열다, 갑작스런 경찰의 원천봉쇄에 고립되어 있었다. 늦게 온 사람들은 광장에 들어가지 못하고 도로로 밀려나 있었다. 이때 한 시민과 경찰이 약하게 논쟁이 붙었다. 그 광경을 찍고 있는데, 갑자기 한 전경이 다가오더니 손을 내민다.

“기자증 보여주세요”
“기자 아닙니다.”
“그럼 찍지 마세요. 기자 아니면 못찍습니다.”

약간 발끈해서 뭐라고 하려는데, 옆에 있던 분이 더 화가 났는지 “뭐가 문제냐고, 왜 안되냐고” 소리를 지른다. 그 소리에 기죽은 전경은 바로 등돌아서 원래 있던 돌아갔다. 그래도 화가 났는지 계속 나를 째려봤다. 계속 째려보기에 어이없어 같이 째려보다가, 혀를 내밀어 ‘메롱’ 해줬다. 그러니까 픽-하고 웃더니 고개 돌리더라.

SANYO DIGITAL CAMERA

촛불집회에서 외로운 사람

촛불 집회에 나가다보면, 심각하게 외로움을 느낄 때가 있다. 그러니까, 남들은 다 끼리끼리 왔는데 나만 혼자 있다는 느낌. 가끔 아는 사람들을 만나기도 하지만, 결국 나는 카메라를 들고 혼자 서 있을 때가 훨씬 많다. 내가 있는 곳이 시민들의 뒷 편이 아니라 앞쪽에 가까운 탓이다.

사실 처음에는 카메라를 들고 나가도, 앞보다는 뒷편을 더 서성거렸다. 어차피 앞쪽은 누구나 다 찍을 터이니, 나는 뒷 편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미있는 일들을 카메라에 담아보자고 결심했었다. 그러니까, 아무도 봐주지 않는 곳을 내가 찍자고.

그건 촛불 집회에 나가면서 내 자신에게 스스로 부여한 임무다. 누군가는 예비군복을 입고, 누군가는 질서유지를 맡고, 누군가는 선전전을 하는 것처럼, 나는 남들이 찍지 않는 곳을 찍어서 보여주자고.

확성기 롹밴드였던 ‘사사오아뛰’는 그러다 찍을 수 있었던 대박이었다. -_-; ‘촛불 집회장에서 만난 하림’이나 ‘휴지 줍는 미국인 교수에 대한 조금 불편한 이야기’도 그러다 건져올렸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러니까 촛불이 더이상 진화하지 못하면서, 결국 나도 앞으로 나갈 수 밖에는 없게 되었다.

…아니, 어디서 찍어도 결국 최전선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앞에서 사람들이 잡혀가고 두들겨맞고 있는 판에 뒤편에서 뭔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결국 같이 온 사람들과도 함께하지 못하고, 언제나 혼자서 앞으로 달려가고 있었다.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이라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 누군가와 같이 있다는 것은, 차라리 짐스러운 일이므로.

그런데 왜 영상을 찍는가

그런데 난, 왜 그곳에서 영상을 찍고 있는 걸까? 이거 찍는다고 누가 돈주는 것도 아니고, 누군가는 사진 좀 그만찍고 같이 힘을 보태달라고 하고, 누군가는 사진 찍지 말라고 화를내기도 한다. 다행히 나는 아직 한번도 겪어보지 못했지만, 눈 앞에서 프락치로 오인당하고 메모리 카드를 뺏기거나, 사진을 지우는사람들은 여럿 봤다.

분명 나는 기자도, 시위대도, 구경꾼도 아니다. 하지만 동시에 기록자면서, 참여자고, 관찰자다. 물론 아예 기자의 입장, 관찰자의 입장에서 촛불에 나오는 블로거도 분명 존재하다. 그들은 대부분 목에 한겨레나 시사인의 (시민) 기자증을 목에 걸고 있었다. 시민기자들이나 DSLR 클럽에서 나오는 분들은 아예 ‘PRESS’ 마크가 찍힌 헬멧과 완장을 찬다.

그렇지만 나는 (겁도 없이) 마스크도, 헬멧도, PRESS 마크도 달지 않는다. 앞서 말한 것처럼, 기록과 참여와 관찰의 입장을 모두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PRESS 마크를 다는 것은, 왠지 ‘나는 시위대가 아니다’라고 차별하는 것 같아서 하기 싫었다. 아니, 무엇보다 ‘3인칭’ 시점으로 사건을 보게되는 것이 싫었다.

아프리카 생중계가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었던 것도, 그것이 ‘1인칭’ 시점의 카메라였기 때문이었다고 나는 믿고 있다. 그곳에 있었다면 내가 보게될 것을, 내 눈높이에서 보여주기에 사람들이 ‘우리편’이라고 여겼던 거라고. 나는 그 자리에서 1인칭으로 존재하지 3인칭으로 존재하고 싶진 않았다.

전문적으로서의 포토저널리즘에는 일련의 책임이 따른다. 그 책임 중 대부분은 판에 박힌 일이나 일상적 업무, 즉 현장을 찾아가고 장면을 포착해서 초점을 맞추고 캡션 정보를 수집하는 일등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이러한 윤리적 문제는 개인의 행동을 이끌고,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사회적 질서를 유지시키는 내부의 척도, 즉 양심과 기자로서의 전문적 임무가 서로 배치되는 데서 생긴다.

  • 케네스 코브레, 『포토 저널리즘』, p351

블로거의 카메라가 있어야 할 곳

기자와 시민의 구분이 점점 없어져가는 시대라고 한다. 별로 부정하고 싶진 않다. 하지만 나는 끝까지 1인칭의 시점을 고수하고 싶다. 그리고 전문 사진 기자와는 다른, 블로거의 카메라가 있어야 할 곳은, 바로 그 1인칭의 시점이라고 나는 믿는다. 기자도 시위대도 구경꾼도 아니면서, 기록자며 참여자며 관찰자인 바로 그 곳에. 증거가 남지 않으면 증언도 할 수 없다.

사실 우리가 ‘기자로서의 윤리’를 지킬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블로거들은 대부분 시민의 편이다. 만약 ‘누군가의 편’이라는 생각 없이 그곳에 있다면, 그는 ‘그냥 관찰자’에 불과하다. 우리는 ‘객관적 시점’이 아닌 ‘주관적 시점’을 고수한다. 그런 의미에서 편파적이다. DSLR 클럽에서 나오는 많은 분들도 ‘시민을 지키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라고 말하지 않는가.

우리가 이 곳에서 따르는 윤리는 “절대주의(누구의 권리도 침해해선 안된다)”나 “공리주의(모두의 알 권리를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개인의 권리는 어느 정도 무시될 수 밖에 없다)”의 원칙이 아니다. 우리가 따르는 윤리는 황금률, “남이 나에게 해주기를 바라는 대로 남들을 대하라”다.

솔직하게 말하면 개인적으로 3인칭을 유지할 수 없는데는 이 밖에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눈 앞에서 시비가 붙었을 때는 그 시비를 말리느라, 심하게 폭력을 쓰거나 싸움이 일어나며 그거 말리느라 정신이 없는데 언제 사진을 찍을까. -_-; 기자라면 이때 시비가 붙어서 누가 피라도 흘리면, 찍기 좋은 ‘쎈 피사체’가 되겠지만, 내게 있어선 불상사를 막기 위해 미리 말려야할 일인 것이다.

결국 나는, 앞으로도 1인칭의 시점에서 영상을 찍을 것이다. 내가 내 눈 앞에서 본 그대로, 때론 기쁨이었고, 때론 공포였던 것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래서 내가 전달할 것은 ‘사실 그 자체’라기 보단, 어쩌면 눈물이고, 분노고, 한숨이 될 지도 모른다.

하드 뉴스를 그렇게 감정적으로 다가가는 것은, 위험한 일이기는 하다. 하지만 다른 시선은 기존의 언론에서도 얼마든지 볼 수 있지 않은가. 그러니까 내가 있어야 할 곳은, 같이 두들겨 맞는, 같이 뛰어다니는, 같이 울고 웃는 바로 그 자리…가 맞지 않을까?

  • 그래도 가끔, 나도 “프레스 완장이 있었으면 좋겠다…”하는 생각은 들더라.
  • 아, 생각해보니, 프락치로 몰린 적은 없지만, 채증 하는 거 아니냐고 한번 질문 당한 적은 있었다. 전경들이 진압하는 장면을, 카메라든 손을 머리 위로 뻗어서 찍고 있는데, 한 아주머니가 그러시더라. 이거 채증하는 거냐고. 좀 당황스러워서, 웃으면서 대답했다.

    제가 지금 채증하는 걸로 보이세요? 🙂
    그건 아닌데, 경찰들이 쓰는 거랑 비슷한 카메라 같아서요.
    제껀 그거보다 훨씬 좋은 거에요.
    얼마쯤 하는 데요?
    그, 그게요…

작년에 샀을땐 비싸다고 샀지만, 사실 비싼 넘은 아닌 산요 작티 HD1 이었으니, 조금 궁색하게 둘러대긴 했지만, 그 정도가 의심받아본 전부였다. 촛불에 많이 나가서 얼굴이 팔렸는지, 워낙 인상이 좋은(?)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About Author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