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이 지켜야할 윤리는 어디까지인가 - C&C 레드얼럿3, 욱일승천기 논란을 보며

게임이 지켜야할 윤리는 어디까지인가 - C&C 레드얼럿3, 욱일승천기 논란을 보며

얼마 전 애니메이션 「케로로 중사」가 왜색이 짙다고 해서 논란이 된 적 있었다. 주인공으로 나오는 개구리 외계인 케로로의 복장이 2차세계대전 당시 일본 군인을 연상시킨다는 것이다. 그때는 좀 지나친 생각이다-싶어서 넘어갔는데, 이젠 EA에서 발매하는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커맨드 앤 퀀커 레드얼럿3(약칭 C&C RA 3)」에서 '욱일승천기'를 등장시켰다고 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욱일승천기 등장에 대한 게이머들의 반응은 둘로 갈린다. 오버 금지, 게임은 게임이다. 어차피 재미있으면 다 할거다 vs 욱일승천기가 뭔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아니냐, 이 게임의 발매는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에 대한 모독이다-로. 그리고 이 주장의 배후에는, 각각 표현의 자유에 대한 존중 vs 역사적 과오에 대한 불관용-이라는 두가지 논리가 깔려있다.

EA는 왜 일본을 게임 속에 담았을까?

그렇다면, 왜 EA는 이런 민감한 사안을 게임에 담았을까? 우선 추측해 볼 수 있는 것은, 이 욱일승천기를 비롯한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에 대해 EA의 기획자들이 둔감하다는 것. C&C3는 미국에서 제작된 게임이고, 이들이 '아시아의 하켄크로이츠(나치마크)'로 불리는 욱일승천기에 대해 자세히 모를 수 있다. 욱일승천기는 현재 일본 군대에서도 계속 사용되고 있는 깃발이니, 가상 전투 시뮬레이션에서 '현실적 느낌'을 더해주기 위해 넣었을 가능성이 높다.

일본이 게임에 담긴 이유는, 당연히 '새로운 적'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C&C RA에 등장하던 원래의 적(?)은 (해체되지 않은) 소비에트 연방이었다. 대부분의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은 '워 게임'의 개량이며, 이겨야할 '상대편'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새로운 시리즈에는 새로운 적이 등장해야 게이머의 관심을 끌 수가 있다. 미국에서 주로 나쁜 편으로 설정되는 국가들은, 소비에트(소련, 러시아)/ 테러리스트(중동)/ 중국, 북한등 사회주의 국가/ 독일(또는 독재 국가) ...그리고 일본이다.

저 위의 국가들 가운데 일본을 제외한 국가는 대부분 C&C 게임 시리즈에 다 등장했다. 그리고 남은 한 나라가 일본이니, 일본을 넣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말일지도 모른다. 이 자체도 지나치게 오리엔탈리즘적이긴 하지만... 이에 대한 논쟁은 나중에 하기로 하고.

표현의 자유 vs 역사적 과오에 대한 불관용

여기서 문제가 제기된다. C&C의 게임 디자이너들은 생각없이 욱일승천기를 집어넣었을 것이다(물론 가정이다.). 그리고 욱일승천기를 용납하지 못할만큼 우리 사회가 성숙하지 못했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많은 사람들이 욱일승천기의 등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일까? 게임은 게임일 뿐이지 않는가?

두말할 필요없이, 표현의 자유는 보장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감수성은 이제 누구나 갖추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일본것만 등장하면 왜색이라고 질색하면서 문화침략이라고 호들갑 떨 시기도 지났다. 그렇지만, 표현의 자유에도 분명 '관용의 한계'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너프 필름', '아동 포르노'는 세계 어딜가도 금기시 된다.

그렇다면, 역사적 표현에 대한 자유는 어디까지 용인되어야 하는 것일까? 사실 굉장히 애매한 문제다. 역사는 언제나 현재의 입장에서 재해석된다. 재해석의 기저에는 현재를 정당화 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분명 독일에서도 '홀로코스트는 없었다'라고 주장하는 일군의 무리들이 있다. 중국의 동북공정도 현재에 맞게 과거를 재해석하려는 의도이며, 뉴라이트의 건국절 논란도 결국 자신들을 합리화하려는 것에 지나지 않다.

그렇지만 상대의 '수치스러운 과거'를 들추는 것까지 허용되진 않는다. 서구 사회에서 독일 나치의 상징이었던 '하켄크로이츠'가 엄격하게 금지되는 것도, 그들을 추종하는 스킨 헤드족이 이슈가 되는 것도 그런 이유다. 수치스런 과거는 그 나라의 국민들에겐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았을' 일에 대한 기억이고, 패배한 기억이며, 다른 나라들에겐 '그런 일이 벌어지도록 막지 못했던 과오'에 대한 반성이다(세계가 침묵하지 않았다면, 카톨릭이 침묵하지 않았다면 홀로코스트는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었다-라는 주장도 분명히 존재한다.).

욱일승천기의 등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

반면 서구 사회는 동양에서 일어난 많은 일들에 대해선 무지하거나, 그 민감함을 존중하지 않는다. '욱일승천기'는 많은 아시아 국가들에게는 치욕의 역사에 대한 상징이다. 패배의 상징이며, 우리 스스로의 목숨을 타인에게 맡겨야만 했던, 타인에 의해 학살당하고 약탈당했던 역사의 상징이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인식이 EA에는 없다. 그들이 제암리 학살을 알리도, 난징 학살을 알리도, 일본의 731 부대를 알리도 없다.

만약 저 게임에 등장한 것이 욱일승천기가 아니라 '하켄크로이츠'였다면, 저 게임은 유럽쪽엔 출시도 되지 못했을 것이다. 그만큼 상징은 중요하다. 그래서 어떤 상징에겐 관용이 허락되지 않는다. 만약 히노마루(현재 일본국기)였다면, 일본인들도 이 게임 자체에 민감하게 반응했을 것이다. 그들이 현실에서 어떤 '제국주의적 욕망'을 꿈꾸는 것으로 비칠 수 있으므로(역사 재현 시뮬레이션은 예외로 한다. 이건 다른 맥락에서 읽히게 된다.).

이건 폭력에 대한 미화나, 성적 표현에 대한 수위를 논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다. 그 쪽은 표현의 자유에 있어서 어느 정도까지-라는 사회적 합의가 형성되어 있고, 앞으로 점점 넓어져갈 가능성이 있는 반면, 이건 역사에서 일어난, 누군가에게 '있지 말았어야 할 일'의 상징을 되살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욱일승천기-에 대한 반감의 표시나, 그에 따른 불매운동은 정당하다. 물론 할 사람은 하고 안할 사람은 안할 것이다. 게임 역시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 그렇지만 게이머들이, 그 게임에서 표현되는 내용들이,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 지는 알고 플레이 하기를 원한다. 그것이 우리가 가져야할, 최소한의 비판 정신이다.

* C&C3 가 만들어지지 말았어여할 게임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하지만 그들은 다른 아시아 국가의 역사에 너무나 무심하다. 이는 비판받아야만 한다. 따라서 불매운동을 지지한다.

* GTA등의 발매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GTA 안에서 아동 강간등이 자유롭게 이뤄진다면 당연히 반대했을 것이다. 그건 만들어지지 말아야할 부분이다. 이게 표현의 자유에 대한 내 입장이다. 살인에 대해서 표현하고 말하는 것은 맘대로이지만, 진짜 살인을 하라고 선동하는 게임이나 예술작품이 있다면, 그건 범죄다...라는 정도? 솔직히 말로 표현하기 조금 어렵다. -_-;

About Author


IT 칼럼니스트. 디지털로 살아가는 세상의 이야기, 사람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IT 산업이 보여 주는 'Wow' 하는 순간보다 그것이 가져다 줄 삶의 변화에 대해 더 생각합니다. -- 프로필 : https://zagni.net/about/ 브런치 : https://brunch.co.kr/@zagni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zagni_ 이메일 : happydiary@gmail.com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