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위기론은 없다

블로그 위기론, 게임의 몰락과 닮았다.」라는 글을 읽었다. 랭키닷컴의 글을 근거로, 작년까지 큰 성장을 보여줬던 블로그가, 올해들어 접속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며, 그 이유는 블로거들의 열기가 식었고, 스크랩된 글 중심으로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 가 보다-하면서도, 뭔가 동의할 수가 없었다. … 개인적으로, 최근들어 어느 정도 경륜을 쌓은 좋은 블로그들이 더 많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에도 말했듯, 나는 블로그와 사이트를 소개하는 글을 1년넘게 써오고 있는 중이다. 그런 내눈에 비친 블로고스피어의 모습과, 랭키닷컴에서 내놓은 자료가 다르다는게 납득이 가지 않았다. 게다가 그런 정보가 내 눈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도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랭키닷컴의 자료를 찾아봤다. …그런데 이거 왠걸, 전혀 다른 자료가 보인다.

위의 기사에 나온 내용을 잠깐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이 중에서 지난 한해 큰 성장을 보였던 블로그는 73.5%의 방문자수 증가를 기록해 0.5% 방문자수 감소를 보인 포털 블로그/미니홈피와 대조를 보였다.

다시 말해 포털 블로그 서비스는 0.5% 감소했지만, 전문 블로그 서비스는 73.5%의 성장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 첫번째 글을 쓴 갈락티코님은 어떤 자료를 본 것이고, 어째서 블로그 위기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고 판단한 것일까? 이건 갈락티코님이 글을 쓴 근거를 알려주시면 해결될 문제이지만…

최소한, 지금 블로그 위기론은 어디에도 없다. 객관적으로 블로그는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뭐가 문제인가?

▲ 극적으로 디지털 게임 시장을 개척했다가 극적으로 몰락한, 아타리 게임기

아타리 쇼크와는 다른 포털 블로그의 위기

윗 글의 주제를 ‘포털 서비스의 위기’라고 한정지어서 말해도, 1982년 아타리 쇼크와 포털 블로그의 위기를 결부지어서 이야기하는 것은, 내가 보기엔 조금 오버라고 생각한다. 아타리 쇼크는 불량 게임(?)들이 한탕을 노리고 쏟아지는 바람에, 사람들이 시장 자체에 대한 신뢰를 잃은 것과 비슷하다. 굳이 비교하자면 재미없는 영화들이 투자자들의 눈 먼 돈을 바탕으로 쏟아져 나왔던 작년 영화판이랑 비슷하다고나 할까.

반면 포털 블로그의 위기는 콘텐츠 유통 방법의 문제다.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보단 남의 콘텐츠를 복제해서 쓰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이로 인해 좋은 콘텐츠 자체가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다. 이에 대한 문제제기는 몇년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고, 그래서 포털들도 블로거들을 지원하는 쪽으로 점차적으로 정책을 수정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원인을 잘못파악하면 해법도 잘못 내놓을 수 밖에 없다. 좋은 컨텐츠의 발굴과 홍보, 블로그 전도사들의 육성, 킬러 콘텐츠의 발굴은 그래서 공허한 해답이 되고 만다. 블로그 산업(?)은 디지털 게임같은 오락 산업과는 다르다. 어떤 의미에선, 분명 미디어 산업과 훨씬 더 비슷한 모습을 갖추고 있다.

사람들에게 정보와 읽을거리를 싼 값에 제공해주고, 대신 광고 판매를 통해 수익을 얻는다, 그게 지금 이 시대에 존재하는 미디어 산업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다. 반면 오락 산업은 컨텐츠를 여러 경로를 통해 팔아서 수익을 얻는 구조다. 미디어와 오락 산업이 점점 한 몸이 되어가고는 있지만, 최소한 현재 블로그에 있어서 ‘킬러 콘텐츠’란 개념은 존재하지 않는다.

좋은 블로그 글을 소개해 주거나 홍보하는 것은 분명 필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그것은 메타블로그 사이트등을 통해 이미 이뤄지고 있다. 블로그 전도사? 사실 그런 것은 필요없다. 이미, 왜 기업에 블로그가 필요한지, 홍보에 어떻게 하면 블로그가 쓰일 수 있는지, 블로그가 왜 좋은 지를 말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블로고스피어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지금 블로고스피어는 한단계 도약을 하지 못하고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블로그 위기론 같은 근거없는 호들갑은 필요없다. 나중에 다시 한번 쓰겠지만, 지금 한국의 블로고스피어에 필요한 것은 자신의 필요를 증명할 수 있는 ‘현실에서의 결과’다. 새로운 정체성의 형성, 새로운 필자의 발굴, 인적 네트워크의 구성-은 이미 초기에 한번씩 다뤘던 문제들이다. 그리고 메타블로그등을 통해 수없이 쏟아지는 블로그 글들을 어떻게 편집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틀도 갖췄다.

사실 이런 고민들-어떻게 더 성장할 수 있을것인가?-은 대부분 미디어 기술들이 등장하는 초기에, 항상 나타나는 문제다. 책과 신문들(심지어는 전화!)도 그랬고, TV와 라디오도 처음엔 ‘시스템’은 갖췄는데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들을 다들 했었다. 그리고 그 고민은, 결국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람들과 맞닥뜨려가며, 그들이 어떤 것을 원하는 지를 시험적으로 계속 내보내보며 결정하는 수 밖에는 없다.

지금 블로고스피어에 필요한 것은 ‘누가’ ‘왜’ 블로그의 글을 보는 가에 대한 고민이다. 정치와 이슈 중심으로 블로고스피어가 재편된 것이, 괜히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사람들이 그쪽의 글을 원했고, 그런 글들에 더 많이 반응했기에 그에 호응하는 글이 쏟아진 것이다. 그렇지만 그로 인해 다른 글을 보길 원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한편으로 밀려난 것 또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면 블로고스피어는 한단계 도약할 수 있을까? 아니, 그렇지 않다. 그렇게 단순히 제공하면 본다-라면 얼마나 좋을까. 욕구와 욕망은 천천히 늘어난다. 지금 다양한 정보는 대부분 ‘전문 커뮤니티’들을 통해 유통되고 있다. 전문 커뮤니티에서 소비되는 욕구를 어떻게 블로고스피어로 끌어올 수 있을까?

…대답은 결국,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전문 블로거의 탄생이다. 그리고 그 전문 블로거의 글을 유통시켜줄 수 있는 채널의 등장이다. 이때는 분명히 자본의 투자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그 자본을 어디서 끌어올 수 있을 것인가? …실은 우리가 막혀 있는 부분은, 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지속 가능한 블로그 플랫폼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최근 있었던 오연호 오마이뉴스 기자와의 논쟁들도 여기에 걸쳐 있을 거고…이 문제에 대해선, 다른 글에서 나중에, 조금 더 들어가서 다루기로 하자.

About Author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