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안보,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제목에는 역사라고 이름 붙였지만, 굳이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도 없다. 바로 15년전에 일어났던 쌀수입개방 반대 집회를 다시 돌이켜보고 싶어서다. 93년말, 국제적인 자유 무역을 위하여, GATT 체재를 대신할 WTO 체재를 출범시키기 위해 이뤄졌던 UR(우르과이 라운드) 협상에서, 한국의
Continue readingAll about Digital Lifestyle
제목에는 역사라고 이름 붙였지만, 굳이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도 없다. 바로 15년전에 일어났던 쌀수입개방 반대 집회를 다시 돌이켜보고 싶어서다. 93년말, 국제적인 자유 무역을 위하여, GATT 체재를 대신할 WTO 체재를 출범시키기 위해 이뤄졌던 UR(우르과이 라운드) 협상에서, 한국의
Continue reading27일 밤 10시께 원세훈 장관은 <시사IN>과 인터뷰를 진행하던 도중 시민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한 촛불집회 참가자는 “시민의 뜻을 왜 막으세요?”라고 말했다. 그러자 원 장관은 “뭐가 시민의 뜻입니까? 어제 동아일보 못보셨어요?”라고 말했다. 원 장관의 목청이 대단히
Continue reading조선일보가 자폭했다. '인터넷 시장조사기관 메트릭스'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발표한 기사에 나타난 해석이 엉터리였던 것이다. 매트릭스의 조사결과는 '다음 아고라에서, 소수의 이용자가 대부분의 글을 올린다'라는 것이었다. 그 내용을 인용보도 하면서 조선일보는 "극소수가 토론 지배하는 다음 '아고라'", "3%가 전체 50%
Continue reading2008-06-26 04:49:08 한참 촛불집회 생중계를 보다가, 잠시 담배 피러 베란다에 나갔는데, 그런 생각이 나더라. 지금 저 곳에선 살벌한 진압이 벌어지고 있는데, 눈 앞에 펼쳐진 한 밤중의 아파트 단지는 왜 그렇게도 평온스러운 걸까. 맞아, 그래. 눈을
Continue reading실질헌법이란? 헌법 전문을 읽고 과연 대한민국이라는 곳이 이 헌법을 얼마나 지키고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을 때의 씁쓸함이 기억에 남아 만든 프로젝트입니다. 현실과 너무나 동떨어진 이상향의 헌법을 좀 현실적으로 바꿔보고 싶군요. 지키지 못하는 법이니까 좀 쉽게 지킬
Continue reading그저께 100분 토론을 통해 묘한 스타(?)가 되었던 주성영 의원이, 어제(금) 뷰스앤뷰스와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 기사를 읽는데 뭔가 묘하게 이상하다. 특히 '디지털 마오이즘'을 들먹이며 설명하는 말이 많이 걸렸다. 아니나 다를까, 찾아보니 주성영 의원은 2008년 5월 6일자 동아일보 기사를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