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핍은 스티브 잡스의 힘이었다

결핍은 스티브 잡스의 힘이었다

 

스티브 잡스에 대한 영화는 벌써 3편이 만들어졌다. 별 내용이 없었던 2013년판 '잡스'와 아론 소킨이 대본을 쓴 2015년판 '스티브 잡스', 그리고 다큐멘터리 '스티브 잡스 : 맨 인 더 머신'.

나라면? 아예 SF형식을 빌려 잡스가 전개하는 “현실 왜곡장(reality distortion)”에 대해 진지하게 다뤄보고 싶다. 현실 왜곡장. 잡스가 말하면 별 것 아닌 제품조차 혁신적인 제품으로 여겨지게 만든다는 그 신비의 마법.

 

카리스마 리더의 뒤에 감춰진 것

 

스티브 잡스를 비판하는 사람들이 흔히 꺼내는 단어도 이 ‘현실 왜곡장’이다. 한 마디로 스티브 잡스는 훌륭한 마케터일 뿐 진짜 혁신적인 것을 만들어내는 사람은 아니라는 뜻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말은 스티브 잡스의 주변 인물에게서 나왔다. 원래는 미국 SF드라마 ‘스타트렉’에서 쓰이는 단어로, 애플의 매킨토시 개발자였던 버드 트리플이 잡스를 평가하면서 사용해 유명해진 말이다.

 

 

누구에게 나왔건, 이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하나다. 잡스의 지지자이건 비판자이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것, 바로 잡스의 카리스마다. 스티브 잡스는 ‘현실왜곡장’을 느끼게 할 정도로 타고난 카리스마를 가지고 사람을 설득하는 능력이 있었다. 그렇지만 잡스가 원래부터 그렇게 카리스마 있는 리더였을까.

 

 

잡스가 어린 시절부터 남의 관심을 끌기 좋아하는 시끄러운 아이였던 것은 분명하다. 그 버릇은 나이 들어도 사라지지 않아서 대학에 잠시 머물렀을 때조차 괴짜로 이름을 날렸다. 사망하기 몇 달 전까지 공식적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자리에 항상 머물러 있고 싶어 했던 이가 바로 잡스다.

 

 

왜 그랬을까? 어린 시절 경험이 그를 그렇게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스스로 요란을 떨면서 나 좀 봐주세요-하지 않으면 아무도 봐주지 않는 가난한 집의 아이, 그것이 어린 시절의 잡스였다. 똑똑하고 호기심이 강했지만 그런 잡스를 돌봐주는 이는 별로 없었다. 그래서 어떤 방법으로든 항상 다른 사람들에게 주목받고, 인정받고 싶어 했다.

 

 

맞다. 그의 이해하기 어려운 성격 뒤에는 이것이 있었다. 바로 ‘결핍’. 잡스가 가지고 있는 이중적인 성격. 냉정한 비즈니스맨과 히피, 지극히 현실적이면서도 언제나 다른 존재가 되고 싶었던 그의 욕망은 이런 잡스의 결핍에 대한 공포를 알지 못한다면 이해하기 어렵다-고 나는 생각한다.

 

 

 

 

충성하느냐, 충성하지 않느냐

 

자- 여기서 하나의 조각이 맞춰진다. 현실 왜곡장은 잡스의 결핍에 대한 공포에서 비롯되었다. 어쩌면 그의 무의식 속에 각인된 아기 시절의 기억에서부터 비롯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잡스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라면 눈물 흘리거나 어깃장을 부리는 것도 마다하지 않았다.

 

 

아니 아무것도 없었기에 항상 무모하게 자신을 걸 수 있었고, 살아남기 위해서 타인을 설득하는 교섭술이 발달했다. 타인과 다른 자신이란 것을 스스로 각인하기 위해 선불교의 가르침을 따라갔고, 그런 것들에서 배운 능력들이 그가 현실 왜곡장을 펼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켰다.

 

 

잡스의 이런 태도는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그는 사람을 딱 두 가지 조건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능력이 있는가/없는가와 충성을 하는가/아닌가로.

 

 

충성하지 않는다면 친한 친구나 연인이라고 해도 가차 없었던 사람이 잡스였다. 대신 인정받고 싶은 욕망은 제품에 대한 집착을 낳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잡스는 제품을 직접 설계하거나 만드는 능력은 없었다. 대신 좋은 제품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능력은 있었다. 그래서 그는 사람들이 잡스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대신 만들도록 재촉했다.

 

 

잡스가 매킨토시 프로젝트에 집착한 이유가 ‘자신이 아버지라 불리는 컴퓨터’를 만들고 싶었던 욕망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은 다들 아는 이야기다. 컴퓨터 기판의 납땜 하나하나, 제품 소음이나 나사 구멍, 글자 모양 하나하나까지 간섭했던 것도 실은 그런 참견이 아니면 달리 할 수 있는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 대신 그가 만드는 제품은 완성도가 높았고, 그래서 사람들은 행복했다. 애플을 나가서 만들었던 넥스트 컴퓨터는 예외였지만.

 

 

세상은 내 아이보다 더 무서웠다

 

스티브 잡스가 자신이 낳은 아이의 아버지이기를 거부했던 이유도 거기에 있다. 애플 컴퓨터를 만들자마자 알게 된 여자 친구의 임신은, 그의 인생에서 첫 번째로 ‘자기 의지대로 컨트롤할 수 없는 일’이었다. 컨트롤할 수 없는 조건의 존재는 그 자체로 잡스 같은 인간에겐 공포다. 그것은 자연재해와 같은 일이라서 언제라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신을 나락으로 떨어뜨릴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 잡스의 성격이 바뀌기 시작한 것은 애플 컴퓨터를 나가게 되면서였다. 당시 애플 컴퓨터는 잡스가 제품에서 손을 떼길 원했다. 제품을 자기 자신의 존재와 동일시했던 잡스에게 그런 이야기는 나가서 죽으라는 말과 다름없었다. 그래서 잡스는 애플을 떠난다.

 

 

잡스는 새로 설립한 넥스트 컴퓨터에서 숱한 좌절과 패배를 맛보게 된다. 그의 아이가 아니더라도 세상은 온통 그의 뜻대로 되지 않는 것 투성이었다. 그의 뜻대로 컴퓨터는 만들어지지 않았고 그의 뜻대로 소프트웨어는 팔리지 않았다. 미국 최대의 자수성가 부자였던 잡스의 재산은 1/10로 쪼그라들어 있었다.

 

 

그러다 로렌을 만났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았다. 이제 잡스는 마음대로 하던 일을 때려치울 수가 없는 입장이 되었다. 한때 그가 내다 버리려고 했던 애니메이션팀이 계약을 따왔다. ‘토이스토리’가 대성공을 거두고 그는 다시 부자가 되었다. 결국 만신창이가 되어버린 애플 컴퓨터에, 자신이 그동안 키웠던 넥스트 컴퓨터의 기술을 가지고 돌아왔다. 잡스가 다시 CEO가 되었다.

 

 

현실 왜곡장의 두 번째 조각, 현실 왜곡장을 펼칠 수 있는 무대가 이제 마련되었다.

 

 

Stay Hungry, Stay Foolish

 

애플에 돌아온 잡스는 변해있었다. 여전히 공식적인 자리에 나서는 것을 즐겼지만 그렇지 않은 자리에서는 꼭꼭 숨어 있었다. 미디어와의 접촉도 가급적 피했다. 그는 이제 더 이상 자신을 위한 제품을 만들 필요가 없었다. 그가 곧 애플이었으므로, 월급을 받을 필요조차 없었다.

 

 

대신 타인이 가져온 아이디어를 자신이 좋아할 만한 제품으로 완성시키는 것에 집중했다. 애플이 더 좋은 제품을 내놓으며 성장해야만 했으므로. 애플을 부활시킨 아이맥과 세계 IT 시장을 완전히 흔들어버린 세 가지 제품, 아이팟과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그래서 탄생할 수가 있었다.

 

 

이제 현실 왜곡장의 마지막 한 조각이 완성되었다. 애플의 새로운 제품에 이익을 잠식당한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앞다투어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세상이 조금, 바뀌었다.

 

 

... 그렇지만 잡스는 이제 숨을 쉬지 않는다. 그가 만들어낸 현실 왜곡장과 함께 몇 년 전 세상에서 사라졌다. 내가 만들 ‘현실 왜곡장’을 다룬 영화는 여기서 끝날 것이다. 엔딩 크레디트는 올라갈 것이고, 당신은 잡스의 명복을 빌며 자리를 일어설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직 촬영이 끝나지 않은 엔딩크레디트 이후의 영상이 있다. 바로 잡스 이후의 세계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하는 것.

 

 

나는 과연 결핍을 모르는 리더들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지 정말 궁금하다.

 

 

 

* 2011년 스티브 잡스 사망 이후, 보그 코리아-에 실었던 글입니다. 예전 자료를 정리하다 발견해, 백업 차원에서 올려놓습니다. 도입부는 현재에 맞게 수정했습니다.

About Author


IT 칼럼니스트. 디지털로 살아가는 세상의 이야기, 사람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IT 산업이 보여 주는 'Wow' 하는 순간보다 그것이 가져다 줄 삶의 변화에 대해 더 생각합니다. -- 프로필 : https://zagni.net/about/ 브런치 : https://brunch.co.kr/@zagni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zagni_ 이메일 : happydiary@gmail.com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